건너뛰기 링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및 주소,전화번호 안내 바로가기

의회에바란다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게시판 이용안내

  • 불법 사진, 도용, 저작권등으로 인한 법적 문제는 본인(글쓰기)이 책임지며, 입력하신 내용 중 개인정보(성명,주민등록번호, 주소등)에 관한 사항이 있다면 삭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어 개인정보가 침해 받을 수 있습니다.
    • 타인의 개인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 당할 수도 있으므로 다시 한번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비방, 상업성, 장난, 반복성 게시물 등은 예고없이 블라인드 처리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타인의 명예훼손, 법령위반은 처벌 받을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작성 시 입력한 비밀번호는 작성된 글에 대하여 수정 및 삭제 시 필요하기에 반드시 기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개적인 비난이 아닌 건설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등록일 : 2025-03-19

이○○ 조회수 : 239

비판 자체는 민주사회에서 보장되어야 할 중요한 권리지만 그 방식이 지나치게 원색적이거나 조롱에 가까운 형태라면 생각해볼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군의원들은 군민들이 직접 선출한 대표들입니다. 물론, 그들의 의정 활동에 대해 군민들이 의견을 내고 비판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비판이 단순한 감정적 표현이나 조롱에 그친다면 그것이 과연 군민들의 뜻을 대변하는 건강한 목소리라고 할 수 있을까요?

더 나아가, 군의원들을 향한 과도한 비난은 결국 그들을 선출한 군민들의 선택까지 부정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의정 활동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을 요구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를 표현하는 방식은 더욱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요?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인 비판과 단순한 조롱 섞인 비난은 분명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전자는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후자는 오히려 갈등만 키울 가능성이 큽니다.

의회는 군민들을 위해 존재하는 곳입니다. 그렇기에 군민들의 의견을 경청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그 방식 역시 서로 존중하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군민들이 의정 활동에 관심을 갖고 건설적인 논의를 통해 군정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개진되었으면 좋겠습니다.

五十步百步 (오십보백보)
盲人說夢 (맹인설몽)
投石問路 (투석문로)